HOME > 비용·작업정보 > 작업안내 작업안내

전국 전체 작업 기간 내, 주변 발전소와 함께 신청하시면 비용을 절감하실 수 있습니다.

상반기 하반기
가변 4월 중순 10월
예초 5월 ~ 6월 8월 ~ 9월
제초제 4월 1차 / 6월초 2차 하반기 없음
  • 가변(각도 변경) : 일사량과 일조량을 늘리기 위해 패널 어레이 각도를 조절하는 작업
  • 예초(풀베기) : 발전소 단지에 자란 풀을 깎는 작업
  • 제초제 살포 : 발전소 휀스 안쪽에 제초제를 살포하여 넝쿨이 올라오는 것을 방지합니다.
견적문의 접수하기
  • 예초 작업
  • 가변 작업
  • 제초제 작업

예초작업을 해야 하는 이유?

  • 태양광 발전은 일조량 및 주변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여름이 일조량을 많이 받기는 하지만, 주변 온도의 영향으로 인해 발전량이 떨어지게 됩니다.
  • 모듈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태양전지의 온도가 25℃가 넘어가는 순간부터 1℃ 당 0.5%의 발전 효율이 떨어집니다.

1. 모듈 패널 아래로 바람이 통과하면서 모듈의 열을 식혀 발전량이 떨어지지 않게 합니다.

2. 모듈 패널 위로 자란 잡초를 깎아 음영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발전량이 떨어지지 않게 합니다.

5. 풀이 있어야 지열을 낮출 수 있습니다.

3. 야생 동물이 보금자리를 만들지 못하게 합니다.

4. 겨울철 화재 예방차원

예초 작업 범위

  • 울타리 바깥쪽은 예초 범위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 울타리에 얽힌 넝쿨은 예초 범위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 태양광 발전소 부지 내 공동으로 사용하는 통로(도로)는 예초 범위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 태양광 모듈에 비하여 부지(400평 기준)가 넓어 분산되어 있는 경우 발전에 불필요한 면적은 예초하지 않습니다.
  • 예초된 풀은 치우지 않습니다.

잡초가 자라야 하는 이유?

  • 잡초 없음
  • 잡초 없음

경사진 위치에 발전소는 집중 호우 시 토사가 흘러내릴 수 있기에, 잡초 뿌리가 흙이 흘러내리지 않는 역할을 합니다.

부직포나 바닥재를 깔면 안되는 이유?

  • 부직포
  • 부직포
  • 부직포
  • 부직포

1. 빗물이 바닥재 아래로 흘러 토사가 무너진 것을 확인하기 어려워 차후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몇 개월 후 바닥재 위로 잡초가 자라 예초가 힘들 수 있습니다.

3. 예초 시 바닥재 아래로 물길이 깊게 생겨 작업자가 발견하지 못하고 발이 빠져 사고 발생 위험이 상당합니다.

4. 바닥재를 고정한 클립이 빠져나와 예초기 날에 부딪쳐 튀어나가 작업자 사고 및 주변 모듈을 파손할 수 있습니다.

5. 인접한 산에 산불이 발생할 경우 열기에 약한 바닥재에 불이 붙어 발전소 화재를 발생 시킬 수 있습니다.

6. 강풍을 동반한 태풍으로 인해 바댁재가 뒤집혀 모듈을 덮거나 파손 시킬 수 있습니다.

가변을 하지 않는 발전소는 어레이 각도를 30도로 고정으로 해 놓으셔야 빗물이 잘 흘러내리고 겨울철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태양광 발전소 가변(각도 변경)작업을 하는 이유?

여름철에 각도를 내리면 좋은 이유?

  • 발전 효율이 좋아지고 태풍에 의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여름철에 각도를 내리고 겨울에 올리지 않으면?

  • 태양광 모듈에 쌓인 적설이 낮은 각도로 인해 빨리 내려가지 않아 발전량을 저하시킵니다.

겨울철에 각도를 올리면 좋은 이유?

  • 발전 효율이 좋아지고, 모듈 위에 쌓인 눈이 잘 쓸려 내려가 발전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에 각도를 올리고 여름에 내리지 않으면?

  • 모듈 패널이 세워진 상태에서 태풍으로 인한 강한 바람이 불면 패널 상판에 큰 힘을 받게 되어서 패널이 날아갈 수 있습니다.

[ 한국에너지 기술연구원 -전문가시스템을 이용한 태양광 어레이 최적 설치 각도에 관한 연구 논문 발췌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1982년부터 2005년까지 매 시간마다 측정된 실측 자료를 토대로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 시스템을 통해 전국 최적의 태양광 어레이 설치 경사각을 얻을 수 있는 최대 일사량을 예측하고 이를 통해 위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대전지방에서 1996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8년간 매 시간마다 축정된 실측자료와 전문가 시스템을 통해 예측된 예측결과를 비교해보면 실측 일사량과 예측 일사량은 거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

2.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예측한 전국의 연평균 태양광 어레이 최적 설치 경사각은 24도~36도의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최적 태양광 어레이 설치 경사각은 30도~36도에서 최대의 태양 일사를 받아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포상 특징을 살펴보면 태백산맥, 대관령 일대가 36도, 남해 중부지방이 36도 호남 지방이 31도, 제주도 지방은 24도로 나타났으며 그 외 대부분 지역은 33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3. 최적 태양광 어레이 설치 경사각으로 설치 시 얻을 수 있는 전국의 연평균 최대 일사량의 분포를 살펴보면, 하루에 3.6kWh/㎡에서 4.4kWh/㎡으로 전국적으로 고른 분포 형태를 나타내었다.

지역적으로는 남해 중서부 해안 지방과 충청 서부해안 지방의 일사량이 크게 나타났으며, 반면 전주 지방과 서울지방의 경우는 낮게 나타났다.

  • 표 1
  • 표 2
  • 표 3

[ 태양광 발전소 패널 각도 제어에 따른 발전량 변화 논문자료 발췌 ]

  • 가변 직후
  • 가변하지 않은 곳

[ 태양광 발전소 현장에서 발전량을 비교한 촬영사진 ]

제초제 살포 작업을 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드립니다.

  • 넝쿨이 휀스를 덮고 있으면 발전소 내부로 바람이 들어가지 않아 모듈의 온도를 상승시켜 발전량을 떨어드립니다.
  • 휀스를 감고 있는 넝쿨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휀스를 쓰러뜨릴 수 있습니다.

살포범위

  • 기본은 발전소 전체 살포이며, 발전소 내부 휀스 아래와 어레이 아래 앞쪽만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 제초제 살포는 매년 4월~5월까지입니다. 이후 살포는 상당한 약제 비용으로 예초를 권해드립니다.

주의사항

  • 농경지나 과수원이 발전소와 인접해 있으면 제초제 살포는 불가능 합니다.